9. 크래프트 로보
안녕하세요.
드디어 하루만에 끝내는 종이모형 자작 마지막 입니다.
크래프트 로보를 사용하여 부품을 자르고 직접 만들어보겠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시작합니다.

전에 만들었던 AI 파일을 열어주세요.
그리고, 메뉴 File > Cutting Master Robo 2 > 돔보 마크를 선택합니다.

이런 창이 나오면 그대로 확인을 누릅니다.

아래와 위에 3개의 마크가 생겼습니다.
이 마크를 크래프트 로보가 인식하여 자르게 됩니다.
근데, 마크들이 용지 밖으로 밀려났네요. 인쇄가 되도록 안쪽으로 넣어야 합니다.

레이어의 가장 위에 돔보 마크(레지스트레이션 마크)용 레이어가 생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잠금을 풀고, 마크들을 용지 안쪽으로 몰아 넣습니다.
이때에 각각의 마크는 수평, 수직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아래의 마크 2개를 한번에 선택하여 위, 아래로 이동시키고, 우측 마크 2개를 한번에 선택하여 좌우로 이동 시키는 방법으로 3개의 마크가 틀어지지 않고 직각이 되도록 유지해주세요.

3개의 마크를 연결한 직사각형을 만들었을때 자르는 선이나 접는 선이 이 직사각형 밖으로 나가서는 안됩니다.
또한, 마크와 용지간 여백이 최소 5mm 이상 되게 해주세요. 그렇지 않으면 크래프트 로보가 마크를 인식할 수 없게 됩니다.
보통 10mm 이상이면 별 무리없이 인식합니다.

돔보 마크까지 다 삽입했으면 인쇄를 합니다.
자르는 선과 접는 선의 레이어는 안보이게 잠시 꺼주세요.
이 상태에서 인쇄를 합니다.
자르는 선과 접는 선을 인쇄하지 않는 건, 우리가 직접 자르고 접는게 아니기 때문 입니다.

줄무늬가 생기긴 했지만, 그대로 가기로 합니다.

이제는 자르는 선과 접는 선만 보이게 합니다.
다른 레이어를 감출 필요는 없지만, 자르는 선과 접는 선만을 선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조치를 취합니다.
자르는 선과 접는 선을 반드시 선택 툴로 선택해야 합니다.
선택하지 않은 선은 크래프트 로보가 자르지 않습니다.

그리고나서 메뉴의 File > Cutting Master Robo 2 > 컷/플롯을 선택합니다.
위와 같은 창에서 왼쪽의 두번째 탭을 선택하고, 그 아래 레이어 별을 선택합니다.
레이어가 자르는 선과 접는 선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자르는 선은 실선으로, 접는 선은 점선으로 선 유형을 선택하면 됩니다.
레이어 순서는 접는 선이 위로 가고 자르는 선이 아래로 가는게 좋더군요.
간혹, 자르는 선을 먼저 커팅하는 경우 부품이 밀려서 엉뚱한 곳으로 가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점선을 먼저 내고 실선을 잘라내면 나중에 부품이 밀리더라도 이미 점선이 그어져 있는 터라 불량률이 떨어지게 됩니다.

시트지에 전개도를 붙이고 크래프트 로보에 넣은 후 컷/플롯 창에서 전송 버튼을 누르면 커팅이 시작 됩니다.
2분 5초 쯤 부터 실선 커팅 들어갑니다.

접는 선을 접어 보았습니다.
이제 풀로 붙이기만 하면 되겠군요.

드디어 완성!
아주 간단한 주사위 모형이지만, 종이모형 전개도가 어떤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지 알려드리기에 충분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께서도 만들고 싶은 종이모형이 있다면 꼭 도전해 보세요!
좀 가벼운 감이 있는데, 안쪽에 휴지 같은 것으로 보강하면 좋을것 같네요.
이제 만든 주사위를 가지고 재미있게 놀아봅시다!
[이 게시물은 김철호님에 의해 2012-02-05 16:39:29 자작 자유 강좌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김철호님에 의해 2012-08-12 19:11:10 연재 강좌에서 이동 됨]
드디어 하루만에 끝내는 종이모형 자작 마지막 입니다.
크래프트 로보를 사용하여 부품을 자르고 직접 만들어보겠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시작합니다.

전에 만들었던 AI 파일을 열어주세요.
그리고, 메뉴 File > Cutting Master Robo 2 > 돔보 마크를 선택합니다.

이런 창이 나오면 그대로 확인을 누릅니다.

아래와 위에 3개의 마크가 생겼습니다.
이 마크를 크래프트 로보가 인식하여 자르게 됩니다.
근데, 마크들이 용지 밖으로 밀려났네요. 인쇄가 되도록 안쪽으로 넣어야 합니다.

레이어의 가장 위에 돔보 마크(레지스트레이션 마크)용 레이어가 생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잠금을 풀고, 마크들을 용지 안쪽으로 몰아 넣습니다.
이때에 각각의 마크는 수평, 수직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아래의 마크 2개를 한번에 선택하여 위, 아래로 이동시키고, 우측 마크 2개를 한번에 선택하여 좌우로 이동 시키는 방법으로 3개의 마크가 틀어지지 않고 직각이 되도록 유지해주세요.

3개의 마크를 연결한 직사각형을 만들었을때 자르는 선이나 접는 선이 이 직사각형 밖으로 나가서는 안됩니다.
또한, 마크와 용지간 여백이 최소 5mm 이상 되게 해주세요. 그렇지 않으면 크래프트 로보가 마크를 인식할 수 없게 됩니다.
보통 10mm 이상이면 별 무리없이 인식합니다.

돔보 마크까지 다 삽입했으면 인쇄를 합니다.
자르는 선과 접는 선의 레이어는 안보이게 잠시 꺼주세요.
이 상태에서 인쇄를 합니다.
자르는 선과 접는 선을 인쇄하지 않는 건, 우리가 직접 자르고 접는게 아니기 때문 입니다.

줄무늬가 생기긴 했지만, 그대로 가기로 합니다.

이제는 자르는 선과 접는 선만 보이게 합니다.
다른 레이어를 감출 필요는 없지만, 자르는 선과 접는 선만을 선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조치를 취합니다.
자르는 선과 접는 선을 반드시 선택 툴로 선택해야 합니다.
선택하지 않은 선은 크래프트 로보가 자르지 않습니다.

그리고나서 메뉴의 File > Cutting Master Robo 2 > 컷/플롯을 선택합니다.
위와 같은 창에서 왼쪽의 두번째 탭을 선택하고, 그 아래 레이어 별을 선택합니다.
레이어가 자르는 선과 접는 선이 구분되어 있으므로 자르는 선은 실선으로, 접는 선은 점선으로 선 유형을 선택하면 됩니다.
레이어 순서는 접는 선이 위로 가고 자르는 선이 아래로 가는게 좋더군요.
간혹, 자르는 선을 먼저 커팅하는 경우 부품이 밀려서 엉뚱한 곳으로 가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점선을 먼저 내고 실선을 잘라내면 나중에 부품이 밀리더라도 이미 점선이 그어져 있는 터라 불량률이 떨어지게 됩니다.

시트지에 전개도를 붙이고 크래프트 로보에 넣은 후 컷/플롯 창에서 전송 버튼을 누르면 커팅이 시작 됩니다.
2분 5초 쯤 부터 실선 커팅 들어갑니다.

접는 선을 접어 보았습니다.
이제 풀로 붙이기만 하면 되겠군요.

드디어 완성!
아주 간단한 주사위 모형이지만, 종이모형 전개도가 어떤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지 알려드리기에 충분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께서도 만들고 싶은 종이모형이 있다면 꼭 도전해 보세요!
좀 가벼운 감이 있는데, 안쪽에 휴지 같은 것으로 보강하면 좋을것 같네요.
이제 만든 주사위를 가지고 재미있게 놀아봅시다!
[이 게시물은 김철호님에 의해 2012-02-05 16:39:29 자작 자유 강좌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김철호님에 의해 2012-08-12 19:11:10 연재 강좌에서 이동 됨]